티스토리 뷰

mathe

입델 그런거 왜 함?

게으른 the lazy 2022. 11. 25. 20:48

 

극한을 배웠다면 숨쉬듯이 당연하게 느껴지는 아래 식을 봅시다.

 

lim

 

당연해보이나요? 질문을 하나 해보죠. 1/x0이 될 수 있나요? x가 무한대이면 되지 않냐고요? 무한대가 뭔가요? 정의할 수 있나요? 정의할 수 있다고 쳐보죠. 1/=0인 어떤 수 가 존재한다고 칩시다. 그런데 어떤 수든 0과 곱하면 0이 됩니다. 따라서 1=0×=0으로부터 0=1이라는 해괴망측한 결론이 도출됩니다.

 

따라서 1/x은 절대 0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럼 위 극한식이 의미하는 바는 뭘까요?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잘 정의되지 않는 '무한'이라는 단어를 우리가 너무 쉽게 쓰고 있다는 점입니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위 식을 아래처럼 말합니다.

 

"x가 무한히 커지면 1/x은 0에 무한히 가까이 간다."

 

x가 얼마나 커져야 무한히 커졌다고 말할 수 있나요?

1/x이 얼마나 작아져야 0에 무한히 가까워졌다고 말할 수 있나요?

 

앞에서 말했듯이 '무한'은 쉽게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따라서 극한을 말하는 법을 바꿔야 합니다. '무한'이 문제라고 하니, '무한'을 빼고 말해보죠. 우선 'x가 무한히 커진다'는 '어떤 양수를 잡아도 x는 그것보다 크다' 정도로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x0에 무한히 가까이 간다? 아마 이 말을 하고 싶었을 겁니다.

 

"1/x을 얼마든지 원하는 만큼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

 

'원하는 만큼 0에 가깝게'라는 표현에도 '무한'의 개념이 녹아있는 것 같습니다. 바꿔보죠.

 

"아무리 작은 양의 실수 ϵ을 잡아도, 1/xϵ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다."

 

'아무리'라는 표현도 애매하군요.

 

"어떤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도 1/xϵ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다."

 

'어떤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도'를 좀 더 수학적으로 표현할 방법이 있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1/xϵ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다."

 

'만들 수 있다'는 '존재한다'로 바꿔도 될 것 같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0<1/x<ϵ인 실수 x가 존재한다."

 

어떤가요? 무한의 개념은 1그람도 들어있지 않습니다. 이제 극한의 정의가 제대로 된 것 같습니다.

 


 

아르키메데스 성질(Archimedean property)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이렇게 써있네요.

 

 

이게 무슨 말일까요? 이제 우리는 이 표현을 해석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자연수 N이 존재한다. 자연수 N을 찾을 수 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 아무리 작은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도

임의의 MR에 대해 아무리 큰 실수 M에 대해서도 (음수여도 상관없지만 여기서는 패스)

 

하나로 합쳐볼까요?

 

"아무리 작은 양의 실수 ϵ과 아무리 큰 실수 M에 대해서도 Nϵ>M을 만족하는 자연수 N을 찾을 수 있다."

 

아주 살짝만 리터치를 해보죠.

 

"아무리 작은 양의 실수 ϵ과 아무리 큰 실수 M에 대해서도 ϵ/M>1/N을 만족하는 자연수 N을 찾을 수 있다."

 

x일 때 1/x의 극한값의 정의와 굉장히 비슷하지 않나요? 사실 거의 같은 개념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위 예시는 x가 무한대로 갈 때 1/x0이 되는 경우였습니다. 이걸 일반화해서, x가 어떤 값 a로 가까이 갈 때 함수 f(x)의 값이 L에 가까이 간다는 것을 수식으로 아래처럼 표시합니다.

 

limxaf(x)=L

 

이것도 무한의 개념을 쓰지 말고 표현해보겠습니다. 아래처럼 하면 되지 않을까요?

 

"f(x)을 얼마든지 원하는 만큼 L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

 

'가깝다'는 말을 절대값을 이용해서 바꿔보죠.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f(x)L|<ϵ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번에는 x가 무한대로 가는게 아니라 a 근처로 가야 합니다. 이 부분을 설계해보죠. x일 때 1/x의 극한값은 아래와 같이 썼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0<1/x<ϵ인 실수 x가 존재한다."

 

비슷한 방식으로 표현하려면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f(x)L|<ϵ인 (뭐뭐)가 존재한다."

 

(뭐뭐)에는 뭘 쓰면 좋을까요? 아래 그림을 봅시다.

 

 

|f(x)L|<ϵ는 구간입니다. 아무리 작은 ϵ에 대해서도 함수값이 (Lϵ,L+ϵ)에 들어가게 하려면? 힌트는 '구간'에 있습니다.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것은 x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f(x)L|<ϵ여야 한다? 그렇다면 |f(x)L|<ϵ를 만족하는 x의 구간을 정할 수 있으면 됩니다. 말로 풀어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f(x)L|<ϵx의 구간이 존재한다."

 

구간을 δ를 이용하여 써보죠.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f(x)L|<ϵx의 구간 (aδ,a+δ)이 존재한다."

 

조금 더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임의의 양의 실수 ϵ에 대해서, |xa|<δ인 모든 x|f(x)L|<ϵ를 만족하는 δ가 존재한다."

 

살짝 표현이 난해해지기는 했지만, 유심히 쳐다보면 결국 같은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극한의 정의를, 정의에 들어간 ϵδ를 이용하여 "엡실론 델타 논법"이라고 부릅니다. 너무 길군요. 입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래는 나무위키의 엡실론 델타 논법을 캡쳐한 것입니다.

 

 

표현이 다소 다른 면이 있지만 결국 같은 얘기입니다.

 


 

대학교 1학년 때 미적분학 강의를 들었습니다. 고등학교 때까지 나름 수학 잘한다는 자부심이 있었는데, 강의 초장부터 문제는 하나도 안 풀고 처음보는 기호들과 논법들로 멘붕이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때는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라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한참 지나고 나니 알겠더군요.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것을.

 

무한의 개념을 이용하는 극한을 공짜로 쓸 수는 없습니다. 도대체 무한이 뭐지? 극한이 뭐지? 이렇게 막 써도 되나? 라는 고민을 19세기 수학자들이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나온 것이 엡실론-델타 논법입니다. 수학의 진정한 아름다움은 이런 엄밀함에서 오는 것 같습니다.

 

게으른

댓글